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이따가' vs '있다가' 차이 한방 정리!

"이따가"와 "있다가", 도대체 뭐가 다를까? 한국어를 공부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우리말을 쓰는 사람들도 가끔 헷갈리는 표현입니다. 발음도 비슷하고 상황에 따라 헷갈릴 수 있지만, 두 단어는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이따가”와 “있다가”의 정확한 의미, 사용법, 헷갈리지 않는 구분법, 예문까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 “이따가”의 뜻과 사용법 : 잠시 후, 조금 뒤에 📌 의미 요약품사: (시간)부사의미: 지금보다 조금 지난 뒤의 시간, '조금 뒤에', '잠시 후에'사용 상황: 미래의 어떤 시점을 암시할 때/ 어떤 일이 지금 당장이 아니라 조금 후에 일어날 예정일 때 사용합니다. 📝 예문으로 이해하기이따가 통화할게요.👉 지금은 바쁘니까, 조금 뒤에 전화하겠다는 뜻입니다.이따가 영화 보러 ..

어휘 2025. 5. 26. 19:05
❓'오랫동안' VS '오랜동안' 맞는표현은? 한방 정리!

일상 대화에서는 별다른 의식 없이 “오랜동안이야~”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은데, 막상 글로 쓰려다 보면 멈칫하게 되죠. “오랫동안”과 “오랜동안” 중 무엇이 맞는 말인지, 혹시 둘 다 되는 건지 헷갈린 적 있으셨나요?지금부터 그 차이를 정확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오랫동안'과 '오랜동안', 어떤 표현이 맞을까?✅ ‘오랫동안’이 맞는 표현입니다.❌ ‘오랜동안’은 틀린 표현입니다.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오랫동안’만이 올바른 표현이며, “오랜동안”은 잘못된 표현이죠.하지만 왜 이렇게 헷갈릴까요? 그 이유는 바로 ‘오랜’과 ‘동안’이라는 두 단어가 각자 독립적으로 쓰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오랫동안'의 구조와 의미오랫동안은 ‘오래’ + ‘동안’이 결합된 부사입니다.‘오래’ : 시간적..

어휘 2025. 5. 10. 21:54
❓'~일쑤이다' vs '~일수이다' 맞는 표현은? 한방 정리!

아이가 국어공부를 하면서 질문을 했습니다. "~일쑤이다 가 맞아요?" "~일이다 가 맞아요?" 순간 헷갈렸습니다.무엇이 맞을까? 평소에 일상대화에서 많이 쓰는 말인데 막상 글로 옮기자니 어떤것이 정확한 표현인지 헷갈렸습니다.그래서 찾아보았습니다. 저같은 분들이 있으시다면 한번 같이 보시면서 정리해 보시고, 자녀들에게 자신있게 대답해 보시기 바랍니다. ✅ “~하기 일쑤이다”가 맞는 표현입니다“일쑤이다”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자주 그러곤 한다”는 뜻입니다.특히 부정적인 상황에서 자주 반복되는 행동이나 습관을 말할 때 사용합니다. ✔️ 구조동사 + -기 + 일쑤이다 ✔️ 예문늦잠 자기 일쑤이다. → 자주 늦잠을 잔다는 뜻약속에 늦기 일쑤야. → 거의 매번 늦는다는 뉘앙스스트레스 받으면 폭식하기 일쑤지...

어휘 2025. 4. 10. 14:08
❓‘되다’ vs ‘돼다’ 헷갈린다면? 한방 정리!

“그렇게 돼다니…”“뭔가 잘 되야 할 텐데…”혹시 이런 문장 쓰면서 뭔가 어색하다고 느껴본 적 있나요?맞습니다. 바로 ‘되다’와 ‘돼다’의 혼동 때문이죠.단어 하나 차이지만, 맞춤법에서 아주 흔히 틀리는 표현 중 하나입니다.이 글에서는 ‘되다’와 ‘돼다’의 차이,그리고 틀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쓰는 꿀팁까지 한방에 정리해드립니다. ✅ 1. ‘되다’는 기본형, ‘돼다’는 존재하지 않는 말!먼저 핵심부터 말씀드릴게요.‘돼다’는 존재하지 않는 단어입니다. 국립국어원 표기 기준에서도 틀린 말이에요.✔ ‘되다’란?기본형 : 되다뜻 : 어떤 상태로 바뀌거나 성취되거나 형성되는 것을 말함활용형 : 돼, 됐, 되니, 되었다 등으로 변화📌 예:일이 잘 되다그렇게 돼서 다행이다시험이 됐어! 돼다 = ❌ 틀린 표현되다 =..

어휘 2025. 4. 8. 00:36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kanghera78@gmail.com | 운영자 :ask-me
제작 :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

※ 해당 웹사이트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금융 상품 판매 및 중개의 목적이 아닌 정보만 전달합니다. 또한, 어떠한 지적재산권 또한 침해하지 않고 있음을 명시합니다. 조회, 신청 및 다운로드와 같은 편의 서비스에 관한 내용은 관련 처리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