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게 돼다니…”
“뭔가 잘 되야 할 텐데…”
혹시 이런 문장 쓰면서 뭔가 어색하다고 느껴본 적 있나요?
맞습니다. 바로 ‘되다’와 ‘돼다’의 혼동 때문이죠.
단어 하나 차이지만, 맞춤법에서 아주 흔히 틀리는 표현 중 하나입니다.
이 글에서는 ‘되다’와 ‘돼다’의 차이,
그리고 틀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쓰는 꿀팁까지 한방에 정리해드립니다.

✅ 1. ‘되다’는 기본형, ‘돼다’는 존재하지 않는 말!
먼저 핵심부터 말씀드릴게요.
‘돼다’는 존재하지 않는 단어입니다. 국립국어원 표기 기준에서도 틀린 말이에요.
✔ ‘되다’란?
- 기본형 : 되다
- 뜻 : 어떤 상태로 바뀌거나 성취되거나 형성되는 것을 말함
- 활용형 : 돼, 됐, 되니, 되었다 등으로 변화
📌 예:
- 일이 잘 되다
- 그렇게 돼서 다행이다
- 시험이 됐어!
돼다 = ❌ 틀린 표현
되다 = ✅ 기본형
✅ 2. 왜 ‘돼다’라고 쓰는 실수가 많을까?
① 소리나는 대로 써버리기 때문
‘되다’의 활용형 중 ‘돼’는 실제 발음이 부드럽게 들리죠.
그래서 ‘돼다’, ‘돼서’, ‘돼야’ 등으로 잘못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
- ❌ “문이 자동으로 돼다.”
- ✅ “문이 자동으로 되었다.” → 줄이면 “문이 자동으로 됐다.”
② 과도한 줄임말 감각
우리는 글을 쓸 때 말하듯이 줄여 씁니다.
그러다 보니 ‘되었다’ → ‘됐다’ → ‘돼다’처럼 잘못 굳어지는 경우가 생기죠.
하지만!
아무리 말이 줄여져도 문법은 기본형을 따라야 해요.
**돼다는 존재하지 않는 ‘변형’**이라는 걸 꼭 기억해주세요.
✅ 3. ‘되다’의 올바른 활용 예시 모음
이제 헷갈리지 않도록 실제로 어떻게 쓰이는지 예문으로 살펴보겠습니다.
기본문장 | 활용형 | 설명 |
일이 잘 되다 | 일이 잘 돼 | 기본형 활용 |
결과가 되었다 | 결과가 됐다 | 과거형 줄임 |
그렇게 되어야 한다 | 그렇게 돼야 한다 | 필요 조건 |
✅ 올바른 예시:
- “모든 게 잘 돼서 기뻐.”
- “이게 진짜 되냐?”
- “계획대로 돼야지.”
❌ 틀린 예시:
- “다 돼다 간다.”
- “시간이 돼다 보면 알게 될 거야.”
- “이게 잘 돼다 좋겠다.”
🔔 기억하세요: ‘돼다’는 틀린 말!
올바른 표현은 ‘되다’에서 파생된 ‘돼’, ‘됐다’, ‘돼야’ 등입니다.
✅ 4. 헷갈리지 않는 공식: "돼 = 되 + 아"
우리가 자주 듣는 ‘돼’는 어디서 나온 걸까요?
👉 정답은 **‘되’ + ‘아’ = ‘돼’**입니다.
이걸 '아/어’ 결합 규칙이라 부르는데요, 아래처럼 공식이 만들어집니다:
- 되 + 아 = 돼
- 되 + 어서 = 돼서
- 되 + 어야 = 돼야
즉, ‘돼’는 되다의 활용형일 뿐!
이 자체가 독립된 단어처럼 보여도, 반드시 ‘되다’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 5. ‘되다’ 활용형 총정리 : 표로 딱 정리!
활용형 | 설명 | 예문 |
되다 | 기본형 | 모든 것이 잘 되다. |
된다 | 현재형 | 일이 잘 된다. |
되었다 | 과거형 | 시합이 잘 되었다. |
됐다 | 줄임형 (‘되었다’의 준말) | 모든 게 잘 됐다. |
되어 | 연결형 | 일이 순조롭게 되어 가고 있다. |
돼 | 줄임형 (‘되어’의 준말) | 그거 돼? |
되니 | 의문형 | 이게 정말 되니? |
되어서 | 이유 설명형 | 기계가 고장 되어서 못 쓴다 |
돼서 | 줄임형 (‘되어서’의 준말) | 잘 돼서 기분 좋아 |
이 표만 기억해도 문장 쓰는 실력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됩니다!
✅ 6. 헷갈릴 때 이렇게 구분하세요
① ‘되다’에서 왔는지 확인해보기
- “이 문장이 ‘되다’로 바꿔도 자연스러운가?”
👉 그렇다면 ‘돼’가 맞는 표현입니다!
📌 예:
- “일이 잘 돼” → “일이 잘 되다”
- ✅ 자연스럽다 = 맞춤법 OK!
② “돼”는 되+아! / “돼다”는 존재하지 않음!
- 이 문장 하나만 외우세요:
“‘돼’는 줄임말, ‘돼다’는 틀린 말!”
✅ 7. 국립국어원의 설명도 참고해보세요!
국립국어원 표기에 따르면 ‘되다’만 표준어로 인정되며,
‘돼다’는 잘못된 비표준어로 분류됩니다.예시로 검색하면 ‘돼다’는 아예 등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즉, 공식적으로도 틀린 표현이므로 글쓰기, 시험, 블로그, 보고서 등 어떤 상황에서도 쓰면 안 됩니다!

🔔 결론 : ‘돼다’는 틀린 말, ‘되다’가 진짜입니다!
‘되다’의 활용형이 ‘돼’, ‘됐다’, ‘돼서’, ‘돼야’ 등으로 변화하는 것일 뿐,
‘돼다’라는 단어는 국어에 없습니다.
이제부터는 문장 쓸 때 스스로에게 이렇게 질문해보세요. “이 문장을 ‘되다’로 바꿨을 때 자연스러운가?”
자연스럽다면 ‘돼’가 맞고, 아니라면 다시 확인해 보세요. 이제 헷갈리지 마시고 쉽게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부딪치다' VS '부딪히다' 차이 한방 정리!
우리말을 사용하다 보면 비슷한 단어인데도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동사 중에서 ‘부딪치다’와 ‘부딪히다’는 많은 사람들이 혼동하는 대표적인 표현입니다. 이 글에서는 두 단어
ask-me.kr
‘반드시’와 ‘반듯이’ 차이 한방 정리!
우리말에는 비슷한 발음과 형태를 가진 단어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반드시’와 ‘반듯이’는 헷갈리기 쉬운 표현 중 하나입니다. 이 두 단어는 겉보기엔 비슷하지만 의미와 쓰임새가
ask-me.kr
'너비' vs '넓이' 차이 한방 정리!
'너비'와 '넓이', 이 두 단어는 한국어에서 자주 혼동되는 용어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두 단어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너비와 넓이의 차이를
ask-me.kr
'다치다' VS '닫히다' VS '닫치다' 차이 한방 정리!
우리말에는 비슷하게 들리지만 뜻이 전혀 다른 단어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다치다’, ‘닫히다’, ‘닫치다’는 헷갈리기 쉬운 표현인데요. 이 세 단어는 발음도 비슷하고 문장에서 활
ask-me.kr
'않~'VS '안' 차이 한방 정리!
한국어를 공부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않'과 '안'의 차이를 헷갈려 합니다. 이 두 표현은 발음이 비슷하지만 문장에서의 역할이 다르고 의미도 확연히 구분됩니다. 오늘 이 글에서는 ‘않~’과 ‘
ask-me.kr
'갑절' VS '곱절' 차이 한방 정리!
언어를 사용하다 보면 비슷한 뜻을 가진 단어를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갑절’과 ‘곱절’은 비슷해 보이지만, 의미와 사용 범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뜻과 용례를
ask-me.kr
'다행히' vs '다행이' 차이 한방 정리!
우리말에는 비슷하지만 미묘하게 다른 표현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다행히’와 ‘다행이’는 많은 사람들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입니다. 둘 다 ‘다행’이라는 단어에서 파생되었지
ask-me.kr
'틀리다'VS '다르다' 차이 한방정리!
우리말을 제대로 안다고 생각했는데, 일상 속에서 자주 사용하는 표현이 알고 보면 틀린 경우가 많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예가 바로 ‘틀리다’와 '다르다’의 구분입니다.비슷한 상황에서 자
ask-me.kr
'어의' VS '어휘' 차이 한방정리!
‘어의’와 ‘어휘’, 비슷하게 들리지만 뜻은 완전히 다릅니다. 이 글에서 두 단어의 정확한 의미와 쓰임을 예시와 함께 한방에 정리해드립니다! 1. ‘어의’와 ‘어휘’, 왜 헷갈릴까?‘어
ask-me.kr
‘어떻게’ VS ‘어떻해’ 헷갈린다면? 한방정리!
✅ 자꾸 헷갈리는 ‘어떻게’ vs ‘어떻해’누구나 한 번쯤 카카오톡이나 SNS에 “어떻해 ㅠㅠ”라고 써본 적 있지 않나요? 그런데 막상 맞춤법을 생각해보면 ‘어떻해’가 맞는 건지, ‘어떻게
ask-me.kr
'~일쑤이다' vs '~일수이다' 맞는 표현은? 한방 정리!
아이가 국어공부를 하면서 질문을 했습니다. "~일쑤이다 가 맞아요?" "~일이다 가 맞아요?" 순간 헷갈렸습니다.무엇이 맞을까? 평소에 일상대화에서 많이 쓰는 말인데 막상 글로 옮기자니 어떤것
ask-me.kr
‘들르다’ vs ‘들리다’ 차이, 한방 정리!
한국어를 쓰면서도 자주 헷갈리는 단어들이 있죠. 그중에서도 많은 분들이 ‘들르다’와 ‘들리다’를 혼동하곤 합니다.발음도 비슷하고 상황에 따라 헷갈리는 문장도 많아서, 심지어는 맞춤
ask-me.kr
'어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잊다’ VS ‘잃다’ 차이 한방정리! (1) | 2025.04.13 |
---|---|
'~일쑤이다' vs '~일수이다' 맞는 표현은? 한방 정리! (0) | 2025.04.10 |
'맞히다' vs '맞추다' 차이 한방 정리! (0) | 2025.04.09 |
‘어떻게’ VS ‘어떻해’ 헷갈린다면? 한방정리! (0) | 2025.04.08 |
'어의' VS '어휘' 차이 한방정리! (0) | 2025.04.06 |
'틀리다'VS '다르다' 차이 한방정리! (0) | 2025.04.06 |
'다행히' vs '다행이' 차이 한방 정리! (0) | 2025.04.05 |
'갑절' VS '곱절' 차이 한방 정리! (0)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