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휘

'부딪치다' VS '부딪히다' 차이 한방 정리!

 

 

우리말을 사용하다 보면 비슷한 단어인데도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동사 중에서 ‘부딪치다’와 ‘부딪히다’는 많은 사람들이 혼동하는 대표적인 표현입니다. 이 글에서는 두 단어의 차이를 명확히 정리하고,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쉽게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차이 한방 정리!

 

1.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차이점 한눈에 보기

‘부딪치다’와 ‘부딪히다’는 모두 어떤 대상과 충돌하는 상황에서 사용되지만, 능동과 피동의 차이가 있습니다. 올바른 문장을 구사하기 위해 두 단어의 정확한 의미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부딪치다’의 의미와 사용법 (능동태)

‘부딪치다’는  '부딪다'를 강조해서 이르는 말입니다. ('부딪다' : 세게 마주 대거나 닿는다는 뜻)

 

사용스스로 어떤 대상과 충돌하거나 마주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주어가 능동적으로 움직여 충돌하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부딪치다'는 물건과 물건이 서로 세게 맞닿거나 마주 대할 때, 눈길이나 시선이 마주칠 때, 뜻하지 않은 사람이나 일, 상황을 만났을 때 사용합니다. 

 

예문 

  • 길을 걷다가 기둥에 부딪쳤다.
  • 친구와 서둘러 걷다가 어깨를 부딪쳤다.
  • 파도가 바위에 부딪쳐 소리를 냈다.
  • 짝궁과 시선이 부딪쳤다. 
  • 우리는 어려운 현실과 부딪치며 살아간다.
  • 어렵다고 피할 게 아니라 일단 부딪쳐 보자. 

'부딪치다' VS '부딪히다' 차이 한방 정리!
파도가 바위에 부딪쳐 소리를 냈다.

 

 핵심 포인트

  • ‘부딪치다’는 주체가 능동적으로 충돌하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 사람, 사물, 문제 등에 직접 마주하는 상황에서 쓰입니다.

 

2)  ‘부딪히다’의 의미와 사용법 (피동태)

 

‘부딪히다’는 피동형으로, 어떤 대상이 외부의 힘에 의해 충돌을 당하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즉, 주어가 스스로 충돌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 요인에 의해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예문

  • 복도에서 갑자기 달려 나온 친구에게 부딪혔다.
  • 자동차가 나무에 부딪혔다.
  • 공이 얼굴에 부딪혔다.
  • 공원에서 달리는 자전거에 부딪혀 다리를 다쳤다.
  • 예상치 못한 문제에 부딪히게 되었다.

'부딪치다' VS '부딪히다' 차이 한방 정리!
자동차가 나무에 부딪혔다.

 

✅  핵심 포인트

  • ‘부딪히다’는 주체가 외부 요인에 의해 충돌을 당하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 사고, 문제 해결 과정 등에서 자주 쓰입니다.

 

 

2. 자주 헷갈리는 표현

실제 사용에서 헷갈리는 경우를 예문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아래의 예제처럼 상황에 따라 적절한 표현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헷갈리는 표현 올바른 표현 설명
친구와 부딪혔다 친구와 부딪쳤다 서로 능동적으로 충돌했으므로부딪쳤다가 맞음.
벽에 머리를 부딪쳤다 벽에 머리를 부딪혔다 머리가 외부 요인()에 의해 충돌을 당했으므로부딪혔다가 맞음.
문제에 부딪쳤다 문제에 부딪혔다 문제는 스스로 마주치는 것이 아니라 당하는 것이므로부딪혔다가 적절함.

 

 

3. 실생활에서의 활용 예시

‘부딪치다’와 ‘부딪히다’는 일상에서도 자주 쓰이는 표현이므로, 다양한 상황에서의 활용법을 알아두어  더욱 자연스럽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실생활 예문

* 운동 중 사고

  • 축구 경기 중 상대 선수와 부딪쳤다.
  • 강한 슛이 날아와 내 팔에 부딪혔다.

'부딪치다' VS '부딪히다' 차이 한방 정리!
축구 경기 중 상대선수와 부딪쳤다.

 

* 일상적인 상황

  • 버스에서 내리다가 사람과 부딪쳤다.
  • 급하게 문을 열다가 문에 부딪혔다.

* 추상적인 의미

  •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예상치 못한 문제에 부딪혔다.
  • 여러 시행착오를 겪으며 현실과 부딪치고 있다.

 

 

4. 마무리 : ‘부딪치다’와 ‘부딪히다’를 정확하게 사용하자!

‘부딪치다’와 ‘부딪히다’는 우리말에서 혼동하기 쉬운 표현이지만, 능동과 피동을 이해하면 쉽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

 

일상 대화뿐만 아니라 공식적인 문서에서도 정확한 표현을 사용하면 더욱 신뢰감을 줄 수 있습니다.

 

 이제 ‘부딪치다’와 ‘부딪히다’를 헷갈리지 않고 올바르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이 버튼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드시’와 ‘반듯이’ 차이 한방 정리!

우리말에는 비슷한 발음과 형태를 가진 단어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반드시’와 ‘반듯이’는 헷갈리기 쉬운 표현 중 하나입니다.  이 두 단어는 겉보기엔 비슷하지만 의미와 쓰임새가

ask-me.kr

 

'너비' vs '넓이' 차이 한방 정리!

'너비'와 '넓이', 이 두 단어는 한국어에서 자주 혼동되는 용어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두 단어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너비와 넓이의 차이를

ask-me.kr

 

'갑절'과 '곱절' 차이 한방 정리!

언어를 사용하다 보면 비슷한 뜻을 가진 단어를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갑절’과 ‘곱절’은 비슷해 보이지만, 의미와 사용 범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뜻과 용례를

ask-me.kr

 

'않~'VS '안' 차이 한방 정리!

한국어를 공부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않'과 '안'의 차이를 헷갈려 합니다. 이 두 표현은 발음이 비슷하지만 문장에서의 역할이 다르고 의미도 확연히 구분됩니다. 오늘 이 글에서는 ‘않~’과 ‘

ask-me.kr

 

'다치다' VS '닫히다' VS '닫치다' 차이 한방 정리!

우리말에는 비슷하게 들리지만 뜻이 전혀 다른 단어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다치다’, ‘닫히다’, ‘닫치다’는 헷갈리기 쉬운 표현인데요. 이 세 단어는 발음도 비슷하고 문장에서 활

ask-me.kr

 

다행히 vs 다행이 차이 한방 정리!

우리말에는 비슷하지만 미묘하게 다른 표현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다행히’와 ‘다행이’는 많은 사람들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입니다.  둘 다 ‘다행’이라는 단어에서 파생되었지

ask-me.kr

 

“틀리다”VS “다르다” 차이 한방정리!

우리말을 제대로 안다고 생각했는데, 일상 속에서 자주 사용하는 표현이 알고 보면 틀린 경우가 많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예가 바로 ‘틀리다’와 '다르다’의 구분입니다.비슷한 상황에서 자

ask-me.kr

 

‘되다’ vs ‘돼다’ 헷갈린다면? 한방 정리!

“그렇게 돼다니…”“뭔가 잘 되야 할 텐데…”혹시 이런 문장 쓰면서 뭔가 어색하다고 느껴본 적 있나요?맞습니다. 바로 ‘되다’와 ‘돼다’의 혼동 때문이죠.단어 하나 차이지만, 맞춤법에

ask-me.kr

 

‘어떻게’ VS ‘어떻해’ 헷갈린다면? 한방정리!

✅ 자꾸 헷갈리는 ‘어떻게’ vs ‘어떻해’누구나 한 번쯤 카카오톡이나 SNS에 “어떻해 ㅠㅠ”라고 써본 적 있지 않나요? 그런데 막상 맞춤법을 생각해보면 ‘어떻해’가 맞는 건지, ‘어떻게

ask-me.kr

 

'맞히다' vs '맞추다' 차이 한방 정리!

👀 '맞히다' VS '맞추다' 왜 이렇게 헷갈릴까?한국어에서 가장 자주 혼동되는 맞춤법 중 하나가 바로 '맞히다’와 ‘맞추다’입니다.두 단어 모두 비슷하게 들리고, 실제로 일상에서도 막 섞어서

ask-me.kr

 

 

'같이' vs '갇히' 차이 한방 정리!

우리가 자주 혼동하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같이’와 ‘갇히’는 발음이 비슷하고 문맥에 따라 다르게 쓰이기 때문에 특히 많이 헷갈립니다.예를 들어 이런 문장, 한번쯤 들어보셨

ask-m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