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꾸 헷갈리는 ‘어떻게’ vs ‘어떻해’
누구나 한 번쯤 카카오톡이나 SNS에 “어떻해 ㅠㅠ”라고 써본 적 있지 않나요? 그런데 막상 맞춤법을 생각해보면 ‘어떻해’가 맞는 건지, ‘어떻게’가 맞는 건지 고개가 갸우뚱해집니다. 실제로 검색창에 “어떻해 맞춤법”이라고 치는 사람이 많을 정도로, 이 표현은 자주 헷갈리는 대표적인 예 중 하나입니다.
오늘 이 포스팅에서는 ‘어떻게’와 ‘어떻해’의 정확한 쓰임을 한방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1. ‘어떻게’가 맞는 표현
‘어떻게’는 표준어이고, 국립국어원에서도 인정한 올바른 표현입니다.
📌 ‘어떻게’의 뜻:
- 무엇을 하는 방식이나 수단을 묻거나 설명할 때 사용하는 말
📌 예문
- “이거 어떻게 하는 거야?”
- “그걸 어떻게 참았어?”
- “어떻게 된 일이야?”
- "이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 해?"
- "너는 그걸 어떻게 알았어?"
👉 즉, 무언가의 방법이나 상태, 이유를 묻는 표현에서 사용되죠.

❌ 2. ‘어떻해’는 틀린 표현
‘어떻해’는 많은 사람들이 말할 때 흔히 사용하는 표현이지만, 맞춤법상으로는 잘못된 표기예요. 국어사전에는 존재하지 않는 말입니다
📌 왜 틀렸을까요?
‘어떻해’는 ‘어떻다’와 ‘하다’가 합쳐진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그런 문법 구조는 없습니다.
📌 사람들이 왜 헷갈릴까요?
많은 사람들이 "어떻게 해"라는 문장을 줄이면서 "어떻해"라고 잘못 쓰기 때문입니다.
👉 예를 들어:
- “어떻게 해...” → “어떡해...”가 맞는 줄임말이에요.
- 하지만 실제로는 “어떻해...”라고 잘못 줄여서 쓰는 경우가 많죠.

🤓 3. ‘어떡해’는 또 다른 표현! 구분하세요
여기서 한 가지 더 헷갈릴 수 있는 표현이 등장합니다. 바로 ‘어떡해’입니다.
📌 ‘어떡해’ = ‘어떻게 해’의 줄임말
'어떡해'는 ‘어떻게 해’를 줄여서 발음대로 쓴 말입니다. 그래서 이건 표준어예요.
감탄이나 걱정을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예문
- “큰일이야, 어떡해...”
- “아, 나 진짜 어떡해!”
- “내가 어떡해 줄까?”
- "헐, 나 시험 망쳤어. 어떡해..."
- 이걸 내가 혼자서? 어떡해!
- 지갑을 잃어버렸어. 진짜 어떡해!

🧩 4. ‘어떻게’ vs ‘어떡해’ vs ‘어떻해’ 한눈에 정리
표현 | 맞춤법 여부 | 의미 | 예시 |
어떻게 | ✅ 맞음 | 방법, 수단, 이유 | 이거 어떻게 하는 거야? |
어떡해 | ✅ 맞음 | ‘어떻게 해’의 줄임말 | 아, 진짜 어떡해... |
어떻해 | ❌ 틀림 | 잘못된 표현 | (사용하지 말 것) |

✏️5. 맞춤법 실수 줄이는 팁!
📌 글을 쓸 때는 입말보다 문법을 기준으로!
- 말할 땐 대충 넘어가도, 글에서는 반드시 확인해보는 습관을 들이세요.
📌 ‘어떻게 해’는 줄이면 ‘어떡해’, 절대 ‘어떻해’가 아님!
- ‘어떻해’는 실제 존재하지 않는 표현이므로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헷갈리면 ‘어떻게’ 문장으로 풀어보자!
- “어떻해”가 맞나 싶을 때는 “어떻게 해”처럼 문장을 완성시켜 보세요. 그러면 자동으로 맞춤법을 확인할 수 있어요.
📝 6. 실생활 속 헷갈리는 예문 비교
아래 예문들을 통해 어떤 표현이 맞는지 직접 비교해보세요.

📌 7. 마무리
“어떻해”는 틀린 말! “어떻게” 또는 “어떡해” 중 상황에 따라 골라 써야 합니다.
이제부터는 SNS에서도, 문서에서도, 카톡에서도 완벽하게 맞춤법 지켜서 쓰시기 바랍니다.
'부딪치다' VS '부딪히다' 차이 한방 정리!
우리말을 사용하다 보면 비슷한 단어인데도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동사 중에서 ‘부딪치다’와 ‘부딪히다’는 많은 사람들이 혼동하는 대표적인 표현입니다. 이 글에서는 두 단어
ask-me.kr
'너비' vs '넓이' 차이 한방 정리!
'너비'와 '넓이', 이 두 단어는 한국어에서 자주 혼동되는 용어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두 단어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너비와 넓이의 차이를
ask-me.kr
'다치다' VS '닫히다' VS '닫치다' 차이 한방 정리!
우리말에는 비슷하게 들리지만 뜻이 전혀 다른 단어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다치다’, ‘닫히다’, ‘닫치다’는 헷갈리기 쉬운 표현인데요. 이 세 단어는 발음도 비슷하고 문장에서 활
ask-me.kr
'않~'VS '안' 차이 한방 정리!
한국어를 공부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않'과 '안'의 차이를 헷갈려 합니다. 이 두 표현은 발음이 비슷하지만 문장에서의 역할이 다르고 의미도 확연히 구분됩니다. 오늘 이 글에서는 ‘않~’과 ‘
ask-me.kr
'갑절' VS '곱절' 차이 한방 정리!
언어를 사용하다 보면 비슷한 뜻을 가진 단어를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갑절’과 ‘곱절’은 비슷해 보이지만, 의미와 사용 범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뜻과 용례를
ask-me.kr
'다행히' vs '다행이' 차이 한방 정리!
우리말에는 비슷하지만 미묘하게 다른 표현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다행히’와 ‘다행이’는 많은 사람들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입니다. 둘 다 ‘다행’이라는 단어에서 파생되었지
ask-me.kr
'어의' VS '어휘' 차이 한방정리!
‘어의’와 ‘어휘’, 비슷하게 들리지만 뜻은 완전히 다릅니다. 이 글에서 두 단어의 정확한 의미와 쓰임을 예시와 함께 한방에 정리해드립니다! 1. ‘어의’와 ‘어휘’, 왜 헷갈릴까?‘어
ask-me.kr
‘되다’ vs ‘돼다’ 헷갈린다면? 한방 정리!
“그렇게 돼다니…”“뭔가 잘 되야 할 텐데…”혹시 이런 문장 쓰면서 뭔가 어색하다고 느껴본 적 있나요?맞습니다. 바로 ‘되다’와 ‘돼다’의 혼동 때문이죠.단어 하나 차이지만, 맞춤법에
ask-me.kr
'맞히다' vs '맞추다' 차이 한방 정리!
👀 '맞히다' VS '맞추다' 왜 이렇게 헷갈릴까?한국어에서 가장 자주 혼동되는 맞춤법 중 하나가 바로 '맞히다’와 ‘맞추다’입니다.두 단어 모두 비슷하게 들리고, 실제로 일상에서도 막 섞어서
ask-me.kr
‘잊다’ VS ‘잃다’ 차이 한방정리!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헷갈려본 경험이 있는 단어들, 그중에서도 특히 혼동을 많이 일으키는 쌍둥이 같은 존재가 있습니다. 바로 ‘잊다’와 ‘잃다’입니다.의미도 비슷한
ask-me.kr
‘들르다’ vs ‘들리다’ 차이, 한방 정리!
한국어를 쓰면서도 자주 헷갈리는 단어들이 있죠. 그중에서도 많은 분들이 ‘들르다’와 ‘들리다’를 혼동하곤 합니다.발음도 비슷하고 상황에 따라 헷갈리는 문장도 많아서, 심지어는 맞춤
ask-me.kr
'어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같이' vs '갇히' 차이 한방 정리! (0) | 2025.04.14 |
---|---|
‘잊다’ VS ‘잃다’ 차이 한방정리! (1) | 2025.04.13 |
'~일쑤이다' vs '~일수이다' 맞는 표현은? 한방 정리! (0) | 2025.04.10 |
'맞히다' vs '맞추다' 차이 한방 정리! (0) | 2025.04.09 |
‘되다’ vs ‘돼다’ 헷갈린다면? 한방 정리! (0) | 2025.04.08 |
'어의' VS '어휘' 차이 한방정리! (0) | 2025.04.06 |
'틀리다'VS '다르다' 차이 한방정리! (0) | 2025.04.06 |
'다행히' vs '다행이' 차이 한방 정리! (0)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