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어의’와 ‘어휘’, 비슷하게 들리지만 뜻은 완전히 다릅니다. 이 글에서 두 단어의 정확한 의미와 쓰임을 예시와 함께 한방에 정리해드립니다!

     

    '어의' VS '어휘' 의 차이 한방정리

     

    1. ‘어의’와 ‘어휘’, 왜 헷갈릴까?

    ‘어의(語義)’와 ‘어휘(語彙)’는 일상적으로 자주 쓰이진 않지만, 시험이나 공문서, 글쓰기 등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 국어 어휘입니다.
    그런데 이 둘은 소리도 비슷하고, 글자도 ‘어(語)-’로 시작해서 많은 사람들이 혼동하죠.

    특히 “그 단어의 어의가 뭐야?” 라는 말을 들으면,
    이게 맞는 표현인지 헷갈리는 경우 많지 않나요?

    두 단어 모두 ‘언어(말)’와 관련되어 있지만, 그 쓰임과 의미는 전혀 다릅니다.

     

     

    2. ‘어의(語義)’란 무엇인가요?

    ‘어의’는 한자로 쓰면 語義입니다.

    • 語(말씀 어)
    • 義(뜻 의)

    즉, 어의는 ‘단어의 뜻’, ‘말의 의미’를 뜻합니다.

     

    ✅ 정의:

     어의(語義): 어떤 낱말이 가지는 의미 또는 뜻

     

    ✅ 예문:

    • “이 단어의 어의가 정확히 뭐야?”
    • “사전에서 단어의 어의를 찾아보자.”
    • “‘신기하다’는 말은 여러 가지 어의를 가질 수 있어.”

     

    ✅ 활용 상황:

    • 국어사전
    • 독해력 문제
    • 국어 교육에서 ‘뜻풀이’를 설명할 때

     

    ✅ 핵심 포인트:

    ‘어의’는 ‘뜻’에 해당합니다.
    뜻 = 어의, 이 공식 하나만 기억해두면 헷갈릴 일이 거의 없어요.

    3. ‘어휘(語彙)’란 무엇인가요?

     이번에는 ‘어휘’입니다. 한자는 語彙로 씁니다.

    • 語(말씀 어)
    • 彙(무리 휘) → ‘모이다’ 또는 ‘모음’의 의미

    즉, ‘어휘’는 말들의 모음, 단어의 집합을 뜻합니다.

     

    ✅ 정의:

    어휘(語彙): 어떤 언어에 속하는 단어들의 집합. 또는 한 사람이 알고 있거나 사용할 수 있는 단어들의 범위.

     

    ✅ 예문:

    • “그는 어휘력이 매우 풍부하다.”
    • “외국어를 잘하려면 기본 어휘부터 익혀야 해.”
    • “이 책은 고급 어휘를 많이 사용해서 어렵다.”

     

    ✅ 활용 상황:

    • 어학 학습(특히 외국어 공부)
    • 독서 교육
    • 쓰기 능력 및 표현력 평가

     

    ✅ 핵심 포인트:

    ‘어휘’는 단어 그 자체를 말합니다.
    단어 = 어휘,
    뜻 = 어의,
    이렇게 딱 구분해두면 됩니다.

     

    4. '어의' 와 '어휘' 차이 한눈에 정리

    ‘어의’와 ‘어휘’는 소리상 매우 유사합니다. 실제로 빠르게 발음하면 비슷하게 들리기 때문에, 대화 중 무심코 잘못 사용할 수 있는 위험이 있어요.

     

    '어의' VS '어휘' 의 차이 한방정리

     

     

     5. 실제 일상 속에서 자주 틀리는 표현들

    우리 주변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잘못된 표현들을 확인해보세요.

    '어의' VS '어휘' 의 차이 한방정리

     

     

     

    6. 실전 예시로 차이 완벽하게 익히기

    📘 예문 비교 ① – 국어 공부 중

    • A: “이 단어의 어휘가 뭐야?”
    • 👉 틀린 표현 ❌
    • B: “이 단어의 어의가 뭐야?”
    • 👉 올바른 표현 ⭕

    🔍 이유: 단어의 을 묻는 것이므로 ‘어의’를 사용해야 합니다.

     

    📘 예문 비교 ② – 영어 단어 외우기

    • “기초 어휘부터 외워야 해.”
    • → 단어의 모음을 뜻하므로 ‘어휘’가 맞습니다.

     

    📘 예문 비교 ③ – 작문 연습 중

    • “그 아이는 어의력이 뛰어나서 글을 잘 써.”
    • → ❌ 틀린 표현입니다.
    • → ✅ 정답은 어휘력

     

    7. ‘어의’ vs ‘어휘’ 헷갈리지 않는 꿀팁 3가지

    ✅ 1. 뜻이냐, 단어냐 ?

    • 단어의 을 말할 때는 → 어의
    • 단어 자체를 말할 때는 → 어휘

    ✅ 2. 짧게 외우기

    • 의미 = 어의
    • 단어 = 어휘

    ✅ 3. 연상법 활용

    • 어의(語義): 義는 의미 의(뜻) → ‘뜻’과 연결!
    • 어휘(語彙): 彙는 무리 휘(모음) → ‘단어 모음’ 느낌!

     

     

     

    📌 결론: 어의와 어휘, 이제는 헷갈리지 마세요!

    국어 공부나 외국어 학습을 하다 보면, 단어를 많이 외우는 것만큼 그 뜻(어의)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어휘력은 단어를 많이 아는 힘이고,
    📖 어의 이해력은 그 단어의 의미를 정확히 아는 힘입니다.

    이 둘은 따로 떼어놓을 수 없는 관계죠.
    단어를 많이 알아도 뜻을 모르면 제대로 된 의사소통이 안 됩니다.

    지금부터라도 어의와 어휘를 구분해서 대화에 잘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다행히 vs 다행이 차이 한방 정리!

    우리말에는 비슷하지만 미묘하게 다른 표현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다행히’와 ‘다행이’는 많은 사람들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입니다.  둘 다 ‘다행’이라는 단어에서 파생되었지

    ask-me.kr

     

    '갑절' VS '곱절' 차이 한방 정리!

    언어를 사용하다 보면 비슷한 뜻을 가진 단어를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갑절’과 ‘곱절’은 비슷해 보이지만, 의미와 사용 범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뜻과 용례를

    ask-me.kr

     

    '않~'VS '안' 차이 한방 정리!

    한국어를 공부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않'과 '안'의 차이를 헷갈려 합니다. 이 두 표현은 발음이 비슷하지만 문장에서의 역할이 다르고 의미도 확연히 구분됩니다. 오늘 이 글에서는 ‘않~’과 ‘

    ask-me.kr

     

    '다치다' VS '닫히다' VS '닫치다' 차이 한방 정리!

    우리말에는 비슷하게 들리지만 뜻이 전혀 다른 단어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다치다’, ‘닫히다’, ‘닫치다’는 헷갈리기 쉬운 표현인데요. 이 세 단어는 발음도 비슷하고 문장에서 활

    ask-me.kr

     

    '너비' vs '넓이' 차이 한방 정리!

    '너비'와 '넓이', 이 두 단어는 한국어에서 자주 혼동되는 용어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두 단어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너비와 넓이의 차이를

    ask-me.kr

     

    ‘반드시’와 ‘반듯이’ 차이 한방 정리!

    우리말에는 비슷한 발음과 형태를 가진 단어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반드시’와 ‘반듯이’는 헷갈리기 쉬운 표현 중 하나입니다.  이 두 단어는 겉보기엔 비슷하지만 의미와 쓰임새가

    ask-me.kr

     

    '부딪치다' VS '부딪히다' 차이 한방 정리!

    우리말을 사용하다 보면 비슷한 단어인데도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동사 중에서 ‘부딪치다’와 ‘부딪히다’는 많은 사람들이 혼동하는 대표적인 표현입니다. 이 글에서는 두 단어

    ask-me.kr

     

    ‘되다’ vs ‘돼다’ 헷갈린다면? 한방 정리!

    “그렇게 돼다니…”“뭔가 잘 되야 할 텐데…”혹시 이런 문장 쓰면서 뭔가 어색하다고 느껴본 적 있나요?맞습니다. 바로 ‘되다’와 ‘돼다’의 혼동 때문이죠.단어 하나 차이지만, 맞춤법에

    ask-me.kr

     

    ‘어떻게’ VS ‘어떻해’ 헷갈린다면? 한방정리!

    ✅ 자꾸 헷갈리는 ‘어떻게’ vs ‘어떻해’누구나 한 번쯤 카카오톡이나 SNS에 “어떻해 ㅠㅠ”라고 써본 적 있지 않나요? 그런데 막상 맞춤법을 생각해보면 ‘어떻해’가 맞는 건지, ‘어떻게

    ask-me.kr

     

     

    ‘잊다’ VS ‘잃다’ 차이 한방정리!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헷갈려본 경험이 있는 단어들, 그중에서도 특히 혼동을 많이 일으키는 쌍둥이 같은 존재가 있습니다. 바로 ‘잊다’와 ‘잃다’입니다.의미도 비슷한

    ask-me.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