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을 제대로 안다고 생각했는데, 일상 속에서 자주 사용하는 표현이 알고 보면 틀린 경우가 많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예가 바로 ‘틀리다’와 '다르다’의 구분입니다.
비슷한 상황에서 자주 쓰이지만, 사실 이 둘은 전혀 다른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틀리다’와 ‘다르다’의 정확한 의미와 쓰임을 한방에 정리해드겠습니다. 앞으로 생활에서 유용하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1. '틀리다'와 '다르다'는 어떻게 다른가요?
많은 사람들이 이 두 단어를 서로 바꿔 써도 괜찮은 말처럼 여깁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의미부터 뉘앙스까지 큰 차이가 있습니다.
1) ‘틀리다’ 의 뜻과 올바른 사용법
‘틀리다’는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 잘못되거나 정답이 아닌 상태
- 사실이나 규칙에서 어긋난 경우
즉, 어떤 기준, 규칙, 정답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벗어난 경우에 사용하는 말입니다.
📌 예문
- 시험 문제를 틀렸어요.
- 문법이 틀려서 수정했어요.
- 생각이 틀린 건 아니지만 좀 위험하네요.
✅ 핵심 포인트
‘틀리다’는 "잘못되었다", "오류가 있다", "맞지 않는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2) ‘다르다’ 의 뜻과 올바른 사용법
‘다르다’는 두 사물이나 생각이 같지 않다는 것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 두 대상이 같지 않은 상태
- 비교를 통해 구별되는 상태
여기에는 옳고 그름, 맞고 틀림의 개념이 들어 있지 않습니다.
단지 비교 대상 간의 차이를 말할 뿐이에요.
📌 예문
- 내 생각은 너와 달라.
- 이 제품은 기존 모델과 다릅니다.
- 이 두 브렌드는 디자인이 다르다.
- 문화는 지역마다 다르기 마련이죠.
✅ 핵심 포인트
‘다르다’는 "서로 같지 않다", *"구별된다"*는 의미입니다.
즉, 차이를 인정하는 말이지, 누구 하나가 틀렸다는 말이 아닙니다.
2. '틀리다'와 '다르다'의 차이 한눈에정리
1) '틀리다'와 '다르다'를 혼동하는 이유
✅ 사람들이 '틀리다'와 '다르다'를 혼동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대화나 논쟁 중 감정이 섞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와 의견이 다를 때, 우리는 무심코 “너 그거 틀렸어”라고 말하곤 하죠.
하지만 그 사람의 생각이 꼭 잘못된 건 아닐 수 있습니다. 단지 다른 것일 수도 있습니다.
- 논쟁 중 습관처럼 ‘틀리다’ 사용
- 의견 차이를 ‘오답’처럼 생각하기 때문
- 일상에서 무심코 말한 표현이 굳어짐
하지만!
틀린 건 ‘정답’이 있을 때만 해당됩니다.
의견, 취향, 관점에는 ‘다르다’가 맞는 표현입니다.
2) 예시 비교

✅ 위 표에서 보듯, 틀림과 다름은 분명히 다른 개념입니다.
잘못 표현하면 상대를 비난하는 뉘앙스로 들릴 수도 있으니 잘 알고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3. 실제 상황별 ‘틀리다’ vs ‘다르다’ 사용 예시
이제 이 두 단어를 실제 생활 속 상황에 대입해볼게요. 다양한 대화 속 예시를 통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1) 음식 취향
- 잘못된 표현: “왜 이렇게 틀리게 먹어?”
- 올바른 표현: “와, 너랑 나랑 입맛이 다르구나!”
→ 음식 취향은 정답이 있는 게 아니기 때문에 ‘다르다’를 써야 합니다.
2) 아이가 수학 문제를 틀렸을 때
- 올바른 표현: “여기 계산이 틀렸어. 다시 해보자.”
→ 수학에는 정답이 있으니 ‘틀리다’를 사용하는 게 맞습니다.
3) 문화나 관습 이야기
- 잘못된 표현: “그 나라 풍습은 우리나라와 틀려서 이해 안 돼.”
- 올바른 표현: “그 나라 풍습은 우리랑 달라서 신기해.”
→ 문화나 관습은 비교 대상일 뿐이므로 ‘다르다’가 정확한 표현이에요.
4) 의견 충돌이 있을 때
- 상대방 기분을 상하게 하는 말: “네 생각은 틀렸어.”
- 대화가 부드러워지는 말: “그건 내 생각과는 달라.”
→ ‘틀렸어’는 공격적으로 들릴 수 있으니 조심! 특히 민감한 주제에서는 더더욱.
4. 틀리다 vs 다르다를 헷갈리지 않는 법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는 이렇게 기억하세요

기준이 있는 상황인지 먼저 떠올려 보면 쉽게 구분할 수 있어요.
5. 마무리: ‘틀림’을 줄이고 ‘다름’을 존중하는 사회로
‘틀리다’와 ‘다르다’의 차이를 정확히 아는 것은 단순한 국어 공부 그 이상입니다. 소통의 태도, 상대방을 대하는 마음가짐과도 연결되는 문제입니다.
우리는 너무 쉽게 누군가의 의견이나 취향을 “틀렸다”고 단정짓곤 합니다. 하지만 그게 정말 ‘틀린’ 게 아니라, ‘다른’ 것이라면요?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는 것이 건강한 대화와 공감의 시작입니다. 각 어휘의 뜻을 잘 이해하고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부딪치다' VS '부딪히다' 차이 한방 정리!
우리말을 사용하다 보면 비슷한 단어인데도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동사 중에서 ‘부딪치다’와 ‘부딪히다’는 많은 사람들이 혼동하는 대표적인 표현입니다. 이 글에서는 두 단어
ask-me.kr
'너비' vs '넓이' 차이 한방 정리!
'너비'와 '넓이', 이 두 단어는 한국어에서 자주 혼동되는 용어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두 단어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너비와 넓이의 차이를
ask-me.kr
'다치다' VS '닫히다' VS '닫치다' 차이 한방 정리!
우리말에는 비슷하게 들리지만 뜻이 전혀 다른 단어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다치다’, ‘닫히다’, ‘닫치다’는 헷갈리기 쉬운 표현인데요. 이 세 단어는 발음도 비슷하고 문장에서 활
ask-me.kr
'않~'VS '안' 차이 한방 정리!
한국어를 공부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않'과 '안'의 차이를 헷갈려 합니다. 이 두 표현은 발음이 비슷하지만 문장에서의 역할이 다르고 의미도 확연히 구분됩니다. 오늘 이 글에서는 ‘않~’과 ‘
ask-me.kr
'갑절' VS '곱절' 차이 한방 정리!
언어를 사용하다 보면 비슷한 뜻을 가진 단어를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갑절’과 ‘곱절’은 비슷해 보이지만, 의미와 사용 범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뜻과 용례를
ask-me.kr
다행히 vs 다행이 차이 한방 정리!
우리말에는 비슷하지만 미묘하게 다른 표현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다행히’와 ‘다행이’는 많은 사람들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입니다. 둘 다 ‘다행’이라는 단어에서 파생되었지
ask-me.kr
‘반드시’와 ‘반듯이’ 차이 한방 정리!
우리말에는 비슷한 발음과 형태를 가진 단어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반드시’와 ‘반듯이’는 헷갈리기 쉬운 표현 중 하나입니다. 이 두 단어는 겉보기엔 비슷하지만 의미와 쓰임새가
ask-me.kr
‘되다’ vs ‘돼다’ 헷갈린다면? 한방 정리!
“그렇게 돼다니…”“뭔가 잘 되야 할 텐데…”혹시 이런 문장 쓰면서 뭔가 어색하다고 느껴본 적 있나요?맞습니다. 바로 ‘되다’와 ‘돼다’의 혼동 때문이죠.단어 하나 차이지만, 맞춤법에
ask-me.kr
‘어떻게’ VS ‘어떻해’ 헷갈린다면? 한방정리!
✅ 자꾸 헷갈리는 ‘어떻게’ vs ‘어떻해’누구나 한 번쯤 카카오톡이나 SNS에 “어떻해 ㅠㅠ”라고 써본 적 있지 않나요? 그런데 막상 맞춤법을 생각해보면 ‘어떻해’가 맞는 건지, ‘어떻게
ask-me.kr
'~일쑤이다' vs '~일수이다' 맞는 표현은? 한방 정리!
아이가 국어공부를 하면서 질문을 했습니다. "~일쑤이다 가 맞아요?" "~일이다 가 맞아요?" 순간 헷갈렸습니다.무엇이 맞을까? 평소에 일상대화에서 많이 쓰는 말인데 막상 글로 옮기자니 어떤것
ask-me.kr
‘들르다’ vs ‘들리다’ 차이, 한방 정리!
한국어를 쓰면서도 자주 헷갈리는 단어들이 있죠. 그중에서도 많은 분들이 ‘들르다’와 ‘들리다’를 혼동하곤 합니다.발음도 비슷하고 상황에 따라 헷갈리는 문장도 많아서, 심지어는 맞춤
ask-me.kr
'어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맞히다' vs '맞추다' 차이 한방 정리! (0) | 2025.04.09 |
---|---|
‘어떻게’ VS ‘어떻해’ 헷갈린다면? 한방정리! (0) | 2025.04.08 |
‘되다’ vs ‘돼다’ 헷갈린다면? 한방 정리! (0) | 2025.04.08 |
'어의' VS '어휘' 차이 한방정리! (0) | 2025.04.06 |
'다행히' vs '다행이' 차이 한방 정리! (0) | 2025.04.05 |
'갑절' VS '곱절' 차이 한방 정리! (0) | 2025.04.03 |
'않~'VS '안' 차이 한방 정리! (0) | 2025.04.02 |
'다치다' VS '닫히다' VS '닫치다' 차이 한방 정리! (0) | 2025.03.31 |